국토교통부

[참고] 전세금반환보증 대위변제액 증가는 최근 보증가입 증가에 따른 결과이며, 보증기관의 리스크는 현재 충분히 관리되고 있습니…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39회 작성일 19-07-25 10:41

본문

btn_textview.gif

HUG(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금반환보증은 집주인의 보증금 미반환 위험에 효과적인 대응방법으로 주목받으면서, 최근 보증가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보증실적) (‘16) 5.2조원 → (‘17) 9.5조원 → (‘18) 19.0조원 → (‘19.상) 14.4조원

이에 따라, 보증기관인 HUG에서 집주인을 대신하여 세입자에게 돌려준 대위변제액도 자연스럽게 동반하여 증가하고 있습니다.
* (대위변제액) (‘16) 26억원 → (‘17) 34억원 → (‘18) 583억원 → (‘19.상) 1,084억원

이와 같은 보증가입 규모와 대위변제액의 증가는 지속적인 보증 발급요건 개선, 보증료 인하 및 적극적인 홍보 등 서민 임차인의 보증금 보호 강화를 위한 전세금반환보증 활성화 정책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HUG 전세금반환보증은 세입자의 우선변제권을 담보로 취득하여 대부분 회수가 가능한 구조이며, 집주인의 HUG에 대한 채무는 후속 임차인과의 계약 등을 통해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대부분 상환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 대위변제액 증가에 따른 보증기관 HUG의 위험(리스크)은 현재 충분히 관리가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되며, 향후에도 보증발급 규모, 사고발생 추이 등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위험을 관리해 나갈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전세금반환보증이 서민 임차인들의 보증금 보호를 위한 안전판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가입에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 보호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입니다.

< 관련 보도내용(조선일보, 7.25(목)) >
정부가 대신 돌려준 전세금 1000억 돌파
- 최근 갭투자 등으로 인한 피해사례가 급증하면서 HUG가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돌려준 전세보증금이 전년 대비 급증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006건 1 페이지
국토교통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7006 1074 04-16
7005 1147 04-16
7004 1296 04-16
7003 1259 04-14
7002 1202 04-14
7001 676 04-14
7000 753 04-14
6999 485 04-14
6998 717 04-13
6997 578 04-13
6996 619 04-13
6995 455 04-13
6994 530 04-13
6993 580 04-12
6992 454 04-12
6991 460 04-12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