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청정해역 독도 해양생태계 지키기, 올해도 계속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87회 작성일 21-08-30 00:00

본문

btn_textview.gif

청정해역 독도 해양생태계 지키기, 올해도 계속된다!
- 독도 해역 갯녹음 완화를 위한 해양생물 다양성 회복 사업 지속 추진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독도 해양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다양한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올해도 ‘독도 해양생물 다양성 회복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고 밝혔다.

 

  독도 바다는 차가운 한류와 따뜻한 난류가 만나 해양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독도 주변해역에서 해조류를 먹어치우는 성게가 빠르게 증식하고 수온이 상승하면서 갯녹음 현상**이 심화되어 해양생태계 균형의 훼손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 ‘2020년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에 따르면 독도 주변에는 암반무척추동물 215종, 해조·해초류 94종, 산호류 21종, 어류 15종 등 총 345종의 해양생물의 서식이 확인

 ** 연안 암반지역에서 해조류가 사라지고 석회조류가 달라붙어 암반 지역이 흰색으로 변하는 현상으로, ‘바다 사막화’라고도 불림

 

  이에, 해양수산부는 해양환경공단, 한국수산자원공단 등과 함께 2015년부터 ‘해양생물 다양성 회복사업’을 통해 ▲갯녹음 진단·관찰, ▲갯녹음 원인생물인 성게 및 석회조류 제거, ▲해조류 이식, ▲천적생물 방류 등 복합적인 해양생태계 개선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올해는 지난 5월 실시한 독도 갯녹음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 잠수사를 투입하여 현재까지 성게 약 0.8톤을 제거하였으며, 8월에는 경상북도, 울릉군과 협업해 성게의 천적생물인 돌돔 치어 1만 마리를 독도 주변해역에 방류하여 성게가 자연적으로 감소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오는 9월에는 갯녹음이 특히 심한 구역을 중심으로 고압 분사기를 활용해 석회조류를 제거하는 ‘갯닦이’ 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제거된 성게의 양은 14톤에 이르며, 지난해 성게제거지역을 조사한 결과, 갯녹음 ‘진행’ 단계에서 ‘정상’ 단계로 개선*되는 등 다년간에 걸쳐 추진되어 온 해양생물 다양성 회복사업의 성과를 확인하였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그간의 사업결과를 종합하여 독도 해양생태계의 체계적인 보전·관리를 위한 ‘독도 해양생태계 개선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고 향후 사업 추진에 활용할 계획이다.

  * 성게 제거작업한 5개 정점의 평균 갯녹음률(석회조류가 암반표면을 뒤덮는 비율)은 최초 43.4%(갯녹음 진행)에서 작업 이후 37%(갯녹음 정상)로 감소

 

  이재영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은 “독도 주변해역은 대황, 감태 등 다양한 대형 해조류가 무성하게 자랄 뿐만 아니라, 단위면적당 해조류 생물량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라며, “앞으로도 청정해역 독도의 해양생물 다양성을 회복하고 보전하기 위해 관련 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57건 1 페이지
해양수산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4157 1161 04-14
4156 1185 04-14
4155 1020 04-14
4154 1195 04-13
4153 1258 04-13
4152 586 04-12
4151 469 04-12
4150 612 04-12
4149 626 04-12
4148 693 04-12
4147 474 04-11
4146 683 04-11
4145 802 04-11
4144 576 04-11
4143 635 04-10
4142 587 04-10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