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개체굴 양식지원으로 부표사용량은 줄이고 수출은 늘리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68회 작성일 21-03-31 00:00

본문

btn_textview.gif

개체굴 양식지원으로 부표사용량은 줄이고 수출은 늘리고!

- 해수부, 친환경 개체굴 공동생산시설 사업지 4개소 선정-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친환경 개체굴 공동생산시설 사업지로 전남 신안, 경남 통영, 경남 남해, 경남 고성 4개소를 선정했다고31() 밝혔다.

 

  개체굴 양식은 바닷속으로 길게 늘어뜨리는 굴 양식용 줄에 굴을 부착하여 다발로 키워내는 기존의 양식방식과 달리, 줄에 굴을 붙이지 않고 개체별로키워내는양식방식이다. 이 방식은 굴이 각자 성장하기 문에 굴 껍데기 모양이 일정하면서 끝이 동그란 형태를 띠며, 일반적으로 이만 판매하는 방식(알굴)과 다르게 껍데기째로 판매되기 때문에 굴 껍데기처리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 양식장은 굴 양식용 줄의 무게로 인해 1ha1,600여 개 정도의 부표를 사용하는데 반해, 개체굴 양식장은 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양식장의 40% 수준인600여 개의 부표를 사용하여 더욱 친환경적이다.

 

  일반적으로 굴은 여름철에 산란기를 맞아 방란, 방정 등 수정행위를 하면서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상품성이 떨어져소비가 감소한다. 그러나, 3배체 개체굴*은 씨 없는 수박과같이 염색체가 세 쌍이 되어 알을 품지 않기 때문에 생식소 발달에 쓰일 에너지를 성장에 사용하여 성장속도가 빠르고 수율(비만도)이 좋은편이므로, 산란기에도 상품성 걱정 없이 판매를 할 수 있게 되어 어가소득 창출에 도움이 된다.

 

   * 일반 개체의 경우 두 쌍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데(2배체), 생식능력을 없애고 성장능력만 가지게 하기 위해 유전학적으로 염색체를 3쌍으로 만든 개체

 

  이 외에도, 개체굴은 굴 전문점인 오이스터바와 같은 소비형태가 많은 중국, 홍콩, 유럽 등에서 주로 소비되며, 고급 레스토랑 및 호텔 등에 고가로 납품되어 부가가치가 높은 편이다. 또한, 세계적으로 수출량이 가장 많은 프랑스산 개체굴은 1kg15,000원 정도의 가격이 형성되어 있는데 반해, 국내 개체굴은 1kg7,000~12,000원에 수출되어 가격경쟁력도 있으므로 국내 수산물 수출증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부가가치가 높은 개체굴 양식을 활성화하기 위해올해부터 개채굴 지원사업을 추진하며, 5곳 이상의 양식어가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양식생산시설을설치하는 경우 사업비의 일부를 지원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지원 대상지 선정을 위해 122일부터 33까지 지자체로부터 신청 접수를 받았으며, 이후 해수부, 민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보조사업자 선정위원회를 통해 적정성, 합리성, 실현가능성등에 대한 서류 및 발표평가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전남 신안, 경남 통영, 경남 남해, 경남 고성 4곳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였다. 각 지자체에는 최대 10억 원의 사업비를지원하며, 3년간 시범사업 후 단계적으로 지원 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수호 해양수산부 어촌양식정책관은 이번 개체굴 지원사업은 부표 사용을 줄여 우리 바다환경 보호에 도움을 주면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양식수산물의수출 증대로 어업인 소득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57건 82 페이지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